본문 바로가기

다작(多作)/800 에세이8

[사순절 묵상] 제6일, 베드로후서 2:4-21 中 5 또 하나님이 옛 세상을 봐주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나 정의의 선포자인 노아는 일곱 식구와 함께 보호해 주셨습니다. 불경건한 사람들의 세상에 홍수가 나게 하셨을 때 말입니다. 6 또 소돔과 고모라 두 도시를 잿더미로 만드시고 재난을 내려 심판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앞으로 불경건하게 살 사람들의 본보기를 삼으셨습니다. 7 그러나 의로운 롯을 구해 주셨습니다. 규범을 벗어난 사람들의 멋대로 놀아나는 생활 모습에 괴로움을 당하고 있던 롯을요. 8 그 의로운 롯은 그들 가운데 자리 잡고 살면서, 날마다 그들의 무법한 행동들을 보고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의로운 영혼을 괴롭게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9 주님은 알고 계십니다. 경건한 사람들을 유혹에서 건져 내시고, 불의한 사람들은 벌하셔서 심판의 날까.. 2022. 3. 8.
[사순절 묵상] 제5일, 요한1서 2:1-6 1 나의 자녀 여러분, 이것들을 내가 여러분에게 써 보내는 것은 여러분이 죄를 짓지 않도록 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나 누군가 죄를 짓는다면 우리에게는 아버지 앞에 나서서 도와주시는 분이 계십니다.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님이십니다. 2 그분 자신이 우리의 여러 죄를 덮어 주는 희생제물(화목제물)이십니다. 우리의 죄뿐만 아니라 온 세상의 죄도 덮어 주십니다. 3 우리가 하나님을 안다는 것을 우리는 이로써, 곧 그분의 계명들을 지키는 것으로써 압니다. 4 “내가 하나님을 안다!” 하고 말은 하면서 하나님의 계명들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거짓말쟁이입니다. 이 사람 안에는 진리가 없습니다. 5 그러나 누구든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면 그 사람 안에서 이미 하나님의 사랑이 참으로 완전해진 것입니다. 우리는 이로써 우리.. 2022. 3. 8.
[사순절 묵상] 제 3일, 사도행전 7:35-42 오늘 말씀은 교회의 일곱 집사 중 한 사람인 '스데반'이 유대 최고의회 앞에서 했던 변론 중 한 부분입니다. 이집트 탈출(출애굽)과 모세에 관한 내용이지요. #1. 스데반은 말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세를 인정하지 않았다(35절)'고요. 그런 모세를 하나님께서 당신의 통치자로, 해방자로 선택하셨습니다. 그리고 파라오와 이스라엘 백성 앞으로 보내셨습니다. #2. '이 모세가 사람들을 이끌고 나갔습니다(36절).' 이스라엘 백성이 인정해 주지 않았지만, 모세는 그들을 이끌고 나갑니다. 모세는 하나님을 대신하여 '파라오' 앞에 섭니다. 모세가 하나님의 나라를 대표한다면, 이 세상을 대표하는 사람이 바로 파라오일 겁니다. 파라오 앞에서, 모세는 여러 놀라운 일과 징표를 해 보입니다. 열 가지 재앙과 갈라진.. 2022. 3. 4.
[사순절 묵상] 제 2일, 출애굽기 5:10-23 [사순절 제2일] 출애굽기 5:10-23 10 이스라엘 백성을 부리는 강제노동 감독관들과 작업반장들이 나가서, 그들에게 이렇게 선포하였다. "바로께서 명령하시기를 '내가 너희에게 더 이상 짚을 주지 않겠다. 11 너희는 가서, 너희가 쓸 짚을 직접 구해 와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너희의 벽돌 생산량이 줄어들어서는 안 된다' 하셨다." 12 그래서 백성들은 온 이집트 땅에 흩어져서, 짚 대신으로 쓸 곡초 그루터기를 모아 들였다. 13 "너희는, 짚을 공급받을 때만큼 벽돌을 만들어 내야 한다." 감독관들은 이렇게 말하며 그들을 몰아쳤다. 14 바로의 강제노동 감독관들은 자기들이 뽑아서 세운 이스라엘 자손의 작업반장들을 때리면서 "너희는 어찌하여, 어제도 오늘도, 벽돌 만드는 작업에서 너희가 맡은 일을 전처럼.. 2022. 3. 3.
[사순절 묵상] 제 1일(재의수요일), 이사야 58:1-12 이사야 58:1-12(새번역) 1 "목소리를 크게 내어 힘껏 외쳐라. 주저하지 말아라. 너의 목소리를 나팔 소리처럼 높여서 나의 백성에게 그들의 허물을 알리고, 야곱의 집에 그들의 죄를 알려라. 2 그들이 마치 공의를 행하고 하나님의 규례를 저버리지 않는 민족이나 되듯이, 날마다 나를 찾으며, 나의 길을 알기를 좋아한다. 그들은 무엇이 공의로운 판단인가를 나에게 묻고, 하나님께 가까이 나가기를 즐거워한다고 한다." 3 주님께서 보시지도 않는데, 우리가 무엇 때문에 금식을 합니까? 주님께서 알아 주시지도 않는데, 우리가 무엇 때문에 고행을 하겠습니까? 너희들이 금식하는 날, 너희 자신의 향락만을 찾고, 일꾼들에게는 무리하게 일을 시킨다. 4 너희가 다투고 싸우면서, 금식을 하는구나. 이렇게 못된 주먹질이나.. 2022. 3. 2.